대하 흰다리새우 비교
대하는 새우의 한 종류로 보리새웃과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해안에 서식하며 특히 서해안의 명물이다. 대하(大蝦)는 몸집이 큰 새우라는 의미로 큰 대(大)자와 새우 하(蝦)를 쓴다.
대하의 몸집이 커 왕새우로 불린다. 옛날에는 대하를 양식을 했으나 면역력이 약해 쉽게 죽어 폐사율이 높고 운송 과정에서 잘 죽어 양식으로 키워지지 않는다.
게다가 자연산 대하를 잡아도 바로 죽고 만다. 따라서 우리는 식당에서 살아있는 대하를 눈 앞에서 볼 수가 없다.
대하를 양식할 수 없자 흰다리새우를 양식하게 된 것이다. 흰다리새우는 양식해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시중에는 흰다리새우가 대하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대하라고 써있지만, 실제 흰다리새우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하는 업소에서 찾아보기 귀하신 몸이다. 양식되는 새우가 100% 흰다리새우라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왜 흰다리새우를 대하라고 부를까?
1. 대하와 흰다리새우는 구별하기 힘들어 속여판다.
2. 대하는 몸집이 큰(大) 새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흰다리새우를 대하라 속이는 것이다.
"흰다리새우"가 시중(식당)에서 불리는 말
양식 대하, 양식 왕새우, 산새우, 생물 새우, 국내산 생물 새우
*상인들이 심지어 흰다리새우를 대하라고 부른다.
진짜 "대하"가 시중(식당)에서 불리는 말
자연산 대하, 토종 대하
대하와 흰다리새우는 분류상 모두 보리새우과이지만 서식지아 생태계가 다른 별개의 종이다. 대하가 우리나라 해안에서 잡히는 토종 새우라면 흰다리새우는 외래종이다.
흰다리새우가 대하라고 속여파는 집도 있으니 각별히 조심하도록 하자. 새우 양식업자 말에 따르면 진짜 양식 대하는 우리나라에 한마리도 없다. 양식 새우는 모두 흰다리새우인 것이다.
대하 흰다리새우 비교해보자.
먹서리X파일에서 대하 흰다리새우 구분법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1. 수염
대하가 흰다리새우보다 수염 길이가 확실히 아주 길다. 대하는 보통 몸통에 비해 수염의 길이가 2~3배 길다.
2. 머리
대하는 뿔의 길이가 머리보다 더 길다. 하지만 흰다리 새우는 뿔의 길이가 머리보다 짧다.
3. 눈
대하는 눈이 중앙으로 몰려있고 흰다리새우는 눈이 바깥쪽으로 뻗어있다.
자연산 = 대하, 양식 = 흰다리 새우
이상 흰다리새우 대하 비교를 해보았다. 결론은 자연산 대하를 찾아보기란 하늘에 별따기라는 이야기다. 건강한 새우라면 흰다리새우라도 괜찮은데 병에 걸려 있는지 확인해보자.
"먹거리X파일 병든 새우가 팔린다"에서 마트에 파는 흰다리새우에 흰반점을 찾아냈다. 인체에 무해하다는 말이 있는데 흰반점 바이러스에 감염된 새우는 면역력이 떨어져 다른 질병에 감염될 우려도 있다.
이마트 대하, 홈플러스 대하, 롯데마트 대하 등 대형마트에서 대하라는 명칭을 쓰지 않겠지만, 마트에서 파는 왕새우 혹은 생물 새우는 모두 대하가 아닌 흰다리새우다. 대형마트 흰다리새우 과연 안심하고 먹을수 있을까?
대형마트에서 병든 새우를 버젓이 정상적인 새우로 파는 것이 문제가 있고 똑같은 값 내고 문제가 있는 새우를 먹는 것은 더 억울한 일이다. 대형마트의 쓰레기 같은 횡포가 계속되는 한 똑똑한 소비자가될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지진 7.3 후쿠시마 원전 쓰나미 TV 실시간 반응 (0) | 2016.11.22 |
---|---|
먹거리X파일 병든 새우 팔린다. 먹으면? (0) | 2016.11.14 |
빼빼로데이 선물 추천 코코넛 꿀맛 (0) | 2016.11.10 |
알짜왕 마늘 쉽게 까는법 (0) | 2016.10.27 |
알짜왕 마늘 효능 100% 활용팁 (0) | 2016.10.27 |